[한국4차산업신문] 민간단체 자료실에 근무하는 직원 A씨는 요즘 큰 걱정거리가 있다.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의 중요한 기록이 있는데, 원래 낡긴 했었지만, 작년에 장마가 지나고 난후 상태가 부쩍 나빠진 것 같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섣불리 손을 댔다가 더 큰 낭패를 보지 않을까 걱정이고, 이대로 두면 기록이 사라질 것 같아 안타깝다. 과연 복원해 줄 전문기관이나 사설 업체가 있는지도 모르겠고, 만약 있어도 고가의 비용 발생이 예상되어 망설이고 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소연)은 보존가치가 높은 중요 기록물이 훼손되어 복원이 시급하지만 인력이나 예산이 없어 처리하지 못하고 있던 개인이나 민간.공공기관 소장 기록물에 대해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
근현대 기록물은 가공방법이나 재질의 특수성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유형의 훼손이 발생하기 쉬워 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과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같은 복원 수요가 수익이 보장될 만큼 충분하지 않아 민간에서는 이를 취급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1900년대 이후 생산된 종이는 목재펄프에 각종 첨가물과 화학약품으로 가공·생산되어 황변, 바스라짐 등으로 보존성이 취약하며, 시청각기록물은 장비단종으로 재생이 불가능하거나 보존수명이 종이보다 짧은 특성이 있다.
국가기록원은 종이기록물 복원·복제 장비로 섬유분석기, 초음파앤캡슐레이션 등 총 81종 154대, 시청각기록물 장비로는 오디오·비디오 매체변환 장비(텔레시네 등), 영화필름 세척기 등 총 161종 365대 장비를 보유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지난 2008년부터 훼손된 종이기록물 복원 및 복제본 제작, 영화필름·오디오테이프·사진필름에 대한 보존처리 및 디지털 복원 등의 서비스를 무상으로 지원해 왔다.
현재까지 복원한 주요 민간기록물은 3?독립선언서, 손기정 선수 헌정 영화필름 등이며 총 52개 기관의 종이기록물 5,752매, 시청각기록물 695점에 달한다.
2019년에 지원된 의미 있는 사례로는 임실군청에서 요청한 ’삼계강사계안(1621년)*‘이 있다. 이 기록물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60호 중 하나이다. 당시 훼손이 심각하여 이 1책만 문화재 지정에서 제외된 상태였으나 맞춤형 복원 서비스를 지원받고 올해 문화재로 추가 지정을 앞두고 있다.
삼계강사계안은 조선시대 학동(태종의 둘째아들인 효령대군의 증손 및 최·이·한 등 7성)들이 삼계 강사에 선생을 모셔 수학하던 계원의 명부로서, 전135책 고문서 92장으로 구성된 조선중기 향촌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이다.
시청각기록물의 사례로는,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의 ‘일제강점기 징병 대상 조선인들의 사진’및 ‘조선피폭자의 기록 영화’등이 있다. 이 기록물들은 디지털 복원처리와 디지털화를 지원받았으며, 향후 전시 등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맞춤형 복원·복제 서비스는 국가적으로 보존가치가 높은 기록물을 보유하고 있는 국민, 민간기관, 공공기관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신청은 국가기록원 누리집(www.archives.go.kr) 팝업 창에서 신청서를 내려 받아 5월 10일까지 우편 또는 이메일, 팩스로 하면 된다.
접수된 기록물은 국가적 보존가치, 훼손상태 등에 대한 각 분야별 전문가 심의와 현장방문 심사를 거쳐 지원대상이 최종 선정되고, 내년 말까지 복원처리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특히, 구형 매체여서 내용 확인을 할 수 없는 시청각 기록물에 대한 내용확인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이소연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은 “대한민국 근?현대의 생생한 발자취를 담고 있는 소중한 기록유산의 보존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의무인 만큼 국가기록원 맞춤형 복원?복제 지원사업을 통해 국가 중요기록물이 안전하게 후대에 전승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